상해와 폭행의 차이 및 고소 기한은?
폭행은 단순히 상대방을 밀치는 행위나 위협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으며, 상해는 상대방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혀 병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상해와 폭행의 차이는 법적인 처벌과 고소 기한에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폭행죄는 반의사불벌죄로,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가해자가 처벌되지 않지만, 상해죄는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처벌됩니다.
폭행과 상해의 차이점, 그리고 각각의 고소 기한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폭행의 정의 및 기준
폭행은 사람의 신체에 대해 불법적으로 유형력을 행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폭행은 반드시 상해가 수반되지 않더라도 성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상대방을 밀치는 행위나 위협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도 폭행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폭행죄는 피해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피해를 가하지 않아도 성립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폭력 행위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상해의 정의 및 기준
상해는 신체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상해죄가 성립하려면 가해자의 행위로 인해 피해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의 신체적 손상을 입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먹으로 상대방을 때려서 골절이나 출혈이 발생한 경우가 상해죄에 해당합니다.
상해죄는 폭행보다 더 중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단순폭행죄와 상해죄 차이
단순폭행죄는 상해를 일으키지 않은 폭행 행위에 해당하며, 반의사불벌죄에 속합니다.
반의사불벌죄란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죄를 말합니다. 따라서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면 가해자는 처벌되지 않습니다. 단순폭행죄 외에도 존속폭행죄, 협박죄 등이 반의사불벌죄에 포함됩니다.
반면, 상해죄는 가해자의 행위로 인해 피해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의 상해를 입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상해죄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더라도 가해자는 처벌됩니다.
폭행치상죄도 마찬가지로, 폭행 행위로 인해 피해자가 상해를 입은 경우에 성립하며, 이 경우에도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는 처벌됩니다.
폭행
예를 들면, 길을 가다가 시비가 붙어 상대방을 밀치는 경우, 상대방이 넘어지지 않고 큰 상처가 없더라도 폭행에 해당합니다. 신체적 손상이 없더라도 신체적 접촉을 통해 상대방에게 불쾌감이나 공포심을 유발한 경우입니다.
상해
예를 들면, 폭행 중 주먹으로 상대방의 얼굴을 때려 코뼈가 부러진 경우 상해에 해당합니다. 피해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신체적 손상이 발생한 상황입니다.
고소 기한 및 절차
상해죄의 경우 반의사불벌죄나 친고죄가 아니기 때문에 사건이 상해죄의 공소시효인 7년 이내에 해당한다면 고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소를 진행하려면 상해를 입은 피해 정도와 그 당시의 정황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해야 합니다.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면 증거불충분으로 인해 처벌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단순폭행의 경우 친고죄에 해당합니다. 친고죄는 고소를 하지 않으면 처벌이 불가능한 죄를 말합니다. 친고죄의 경우 범인을 알게 된 날로부터 6개월이 지나면 고소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폭행이 발생한 날로부터 6개월 내에 고소를 진행해야 합니다. 만약 고소할 수 없는 상황이 있었다면, 고소할 수 없는 사유가 없어졌을 때부터 6개월 이내에 고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고소 취하와 재고소
고소를 취하하는 것은 1심 판결 선고 전까지 가능합니다.
그러나 한 번 고소를 취하하면 다시 공소 제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고소를 취하한 후에는 동일 사건으로 다시 고소할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반면, 상해는 병원 치료가 필요한 신체적 손상을 입히는 행위로,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처벌됩니다. 고소 기한은 단순폭행죄는 6개월, 상해죄는 7년 이내입니다.
고소는 1심 판결 선고 전까지 취하할 수 있으나, 한 번 취하하면 다시 고소할 수 없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가정폭력 이혼, 경찰신고에서 이혼 소송 절차
▼ 형사고소 방법 완벽 가이드 (고소장 작성, 제출, 주의사항)
▼ 폭행죄 상해죄 법적 처벌수위
정리하자면, 폭행과 상해는 법적으로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처벌 방식과 고소 기한이 다릅니다. 단순폭행죄는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처벌되지 않는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며, 상해죄는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처벌됩니다.
고소 기한은 상해죄는 7년, 단순폭행죄는 6개월 이내에 고소를 진행해야 하며, 고소 취하는 1심 판결 선고 전까지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s)
Q. 상해와 폭행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Q. 단순폭행죄와 상해죄의 처벌 차이는 무엇인가요?
Q. 상해죄의 고소 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Q. 단순폭행의 고소 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Q. 고소를 취하하면 다시 고소할 수 있나요?
'법률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신고 해야될까? 장점과 단점은? (0) | 2024.07.02 |
---|---|
소액 빌려준돈 받는법 3가지 총정리 (0) | 2024.07.02 |
언어폭력죄란? 언어폭력 기준 및 범위 (0) | 2024.07.01 |
이혼 소송 기간 줄이는 방법 (0) | 2024.07.01 |
이혼 소송 재산분할 판결 기준 (2024년 최신) (0)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