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주차 차량 밀다 사고 나면 누구 책임? 책임자와 배상 범위 총정리
이중주차된 차량을 밀다가 사고가 나면 누구에게 책임이 있을까요?
주차장은 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많아 이중주차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그만큼 사고 위험도 높아집니다. 차량을 밀다가 기둥을 치거나, 옆 차에 흠집을 내는 상황이 발생하면 민 사람, 차주, 피해자 중 누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 헷갈리기 쉽습니다.
사고 유형별 책임자와 보험 적용 가능 여부, 그리고 이중주차 시 꼭 지켜야 할 점까지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고 유형에 따라 책임이 달라진다
유형 1) 이중주차된 차량이 기둥이나 벽에 부딪힌 경우
이 경우 차를 민 사람이 사고를 유발했기 때문에 가해자가 됩니다.
유형 2) 이중주차 차량이 다른 제3자의 차량을 들이받은 경우
피해 차량이 존재하게 되고, 민 사람과 이중주차 차량의 차주가 공동 책임을 져야 할 수 있습니다.
차를 민 사람의 책임
차를 민 사람은 '운전자'가 아니라 단순히 수동으로 차량을 움직인 사람입니다. 이럴 경우 도로교통법상 교통사고에 해당하지 않으며, 자동차 보험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민 사람의 책임 요약
- 자동차 보험 적용
-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은 있음
-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 있다면 일부 보장 가능
결국, 보험 미가입자라면 자비로 배상해야 하며, 피해자와 합의를 보거나 소송으로 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중주차 차량 차주의 책임
이중주차는 법적으로는 불법은 아니지만, 차량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불안한 주차 방식입니다. 따라서 차주에게도 일부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과실 비율: 약 20% 정도 (단, 경사도, 주차구역 여부 등 상황에 따라 조정됨)
이중주차 차량이 사고의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차주의 자동차 보험으로 처리 가능한 장점도 있습니다.
제3의 피해 차량, 누구에게 배상 청구할 수 있을까?
제3의 피해 차량 차주는 사고에 아무런 잘못이 없기 때문에 과실 0%입니다.
청구 대상
- 민 사람
- 이중주차 차량의 차주
두 사람에게 연대 책임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이중주차 차량 차주의 자동차 보험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중주차 시 꼭 지켜야 할 3가지
연락처는 반드시 남기기
다른 차량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연락을 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를 차량 앞 유리에 명확히 남겨야 합니다.
경사면에는 주차 삼가
경사로에서 이중주차 시, 차량이 굴러가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대한 평지를 선택하세요.
차량을 직접 밀지 말고 차주에게 연락
차를 무단으로 밀다가 사고가 나면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이 될 수 있습니다. 무조건 차주에게 연락해 직접 빼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중주차 차량의 차주에게도 일부 과실이 인정돼 연대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3의 피해자는 민 사람과 차주 모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이중주차 시 반드시 연락처를 남기고 차량은 직접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CCTV 영상 열람 방법과 법적 권리, 거절 시 대처법까지
CCTV 영상 열람 방법과 법적 권리, 거절 시 대처법까지
CCTV 영상은 교통사고, 주차장 물피도주, 절도 사건 등 다양한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증거로 활용됩니다. 하지만 막상 열람하려고 하면 “못 보여준다”거나 “경찰 동행이 있어야 한다”는 식의
simplyinfos.com
▼ 도로 하자로 차량 파손됐을 때, 보험 처리 vs 소송 방법 총정리
도로 하자로 차량 파손됐을 때, 보험 처리 vs 소송 방법 총정리
고속도로나 국도 등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갑작스런 도로 파임, 낙하물, 방치된 이물질 등으로 차량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운전자들이 고민하는 건, ‘이걸
simplyinfos.com
▼ 교통사고 과실비율 인정 못할 때? 분쟁 해결법 총정리
교통사고 과실비율 인정 못할 때? 분쟁 해결법 총정리
후방 추돌이나 신호 위반처럼 명백한 사고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과실비율에 대한 논쟁이 적지만, 양측 모두 일정 부분 잘못이 있는 경우라면 과실비율에 대한 이견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simplyinfos.com
정리하자면, 이중주차 차량을 밀다가 사고가 나면 차량을 민 사람과 이중주차 차량의 차주 모두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보험처리는 민 사람은 어렵고, 이중주차 차주는 자동차 보험 처리가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피해자는 과실이 없기 때문에 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이중주차는 꼭 연락처를 남기고 무리한 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s)
이중주차 차량을 살짝 밀었는데도 사고가 나면 무조건 제가 책임인가요?
일부 과실 분담이 될 수는 있어도 본인의 책임은 회피하기 어렵습니다.
이중주차 차량 차주는 무조건 보험 처리 가능한가요?
특히 피해자가 명확할 경우 보험사에 사고 접수를 권장합니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으로 커버 가능한가요?
이중주차된 차에 아무런 연락처도 없을 땐 어떻게 하나요?
무단으로 차량을 밀기보다는 반드시 정식 절차를 통해 해결해야 책임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이중주차 차량을 밀다가 사고가 나면 누가 책임지나요?
또한 이중주차 차주도 일부 과실이 인정되어 연대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중주차된 차를 밀다가 다른 차량을 파손하면 어떻게 되나요?
보통 이중주차 차량의 차주 자동차 보험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중주차 차량 차주의 책임은 어느 정도인가요?
일반적으로 20% 내외의 과실이 인정되며, 이 경우 차주의 자동차 보험으로 보상 처리가 가능합니다.
이중주차 차량을 밀어도 보험 처리가 가능한가요?
하지만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 있다면 일부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이 없다면 전적으로 자비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중주차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법률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사고 대물보상, 내 소지품 보상될까? 보상되는 물건 vs 안 되는 물건 (0) | 2025.03.26 |
---|---|
버스에서 넘어진 승객, 누구 책임일까? 과실비율 및 손해배상 총정리 (0) | 2025.03.26 |
CCTV 영상 열람 방법과 법적 권리, 거절 시 대처법까지 (0) | 2025.03.26 |
도로 하자로 차량 파손됐을 때, 보험 처리 vs 소송 방법 총정리 (0) | 2025.03.26 |
산불 실화 벌금, 처벌 수위는? 고의 아니면 솜방망이? (0) | 2025.03.26 |